• 2023. 5. 27.

    by. 행복한 부자~~^^

    혈압의 생리학적 기전 및 측정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혈압은 기본적이면서도 매우 중요한 술기입니다. 혈압은 심장장애, 두부손상, 스트레스, 고합압 등 심각한 손상의 평가에 유용합니다.

     

    1. 혈압의 생리학적 기전

    혈압(blood pressure)은 심장의 수축기와 확장기 동안에 혈관에 저항하는 압력입니다. 좌심실이 수축하여 뿜어진 혈액은 대동맥궁, 대동맥, 소동맥, 세동맥, 모세혈관으로 흐르는데 대동맥궁에서의 압력이 가장 높으며 모세혈관으로 갈수록 낮아져서 정맥을 거쳐 우심방에 도달할 때 압력이 거의 소실됩니다. 혈압은 심박출량과 말초혈관 저항의 산출 치를 나타냅니다. 심장의 수축기는 심실이 혈액을 방출하기 위한 심박동의 단계이며, 확장기는 심실이 이완되고 혈액이 방출되지 않는 심박동의 단계입니다. 외부의 수단에 의해 측정될 때 혈압은 큰 동맥의 간접적인 측정인 것입니다. 즉, 결과적으로 좌심실의 수축 시 형성되는 압력이 가장 높은데 이점을 수축기압이라 하며, 심장의 확장기에 생기는 압력을 확장기압이라 한다. 수축기압과 확장기압의 차이를 맥압이라고 하며 정상치는 30~50mmhg입니다. 맥박압이 좁아지는 것은 심장눌림증, 긴장성 공기가슴증(기장성 기흉), 쇼크의 초기징후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혈압은 신생아기부터 사춘기까지 서서히 높아지며 그 이후에 갑자기 상승됩니다. 17~18세에 성인의 수준이 되는데 20세 정도에서의 정상 혈압은 수축기압 120mmhg 미만 그리고 확장기압 80mmhg 미만입니다. 그러나 사람에 따라 120mmhg가 고혈압일 수 있고 때로는 저혈압이 되기도 합니다. 청년층에서 수축기압이 140mmhg은 높은 혈압이지만 60세 노인에게는 높은 혈압이 아닐 수 있는 것입니다. 휴식상태에서 심장은 1분에 4~6L의 혈액을 방출하며 이 양은 운동 시에 약 5배로 증가합니다. 정상적을 심실의 1회 수축 시에 약 70ml의 혈액을 방출합니다. 혈압을 조절하는 요인으로는 말초혈관의 상태, 심장의 박출력, 순환혈량, 혈액의 점도, 혈관의 탄력성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2. 혈압 측정방법의 종류

    1. 청진 - 혈압 측정 커프에서 공기가 점차 빠지면서 청진기로 맥박을 들을 수 있게 되는데 그 점을 계기판에서 읽습니다. 위팔을 이용할 때는 위팔(상완) 동맥을 촉진하고, 넙다리(대퇴)로 혈압을 측정할 때는 오금(슬와) 동맥을 촉진합니다. 커프 내의 압력은 수축기압을 초과하여 동맥의 맥박이 촉진되지 않는 지점으로부터 20~30mmhg의 압력을 더 상승시킵니다. 혈압 측정 시에 소리가 처음으로 선명하게 들리는 점이 수축기 압이고 그 후 소리가 갑자기 변하는 점을 확장기압이라 합니다. 음이 마지막으로 사라지는 점을 확장기압으로 간주하는 것입니다. 팔을 다치거나 상처가 있는 경우, 혹은 팔의 측정치와 비교하기 위하여 다리에서 혈압을 측정하기도 합니다. 넙다리나 발목에 커프를 감고 오금(슬와) 동맥과 발등(족배) 동백에서 청진하는데 이때 수축기압이 팔보다 10~40mmhg 정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2. 촉진 - 촉진방법은 코르트코프음을 청진하기에는 박동이 너무 약하거나 시끄러운 환경일 때 사용합니다. 커프를 정상적인 방법으로 팔에 감고 노(요골) 동맥을 촉진하면서 부풀리고 커프의 압력을 서서히 빼면서 이때 노(요골) 맥박이 다시 느껴지는 지점이 수축기압이 됩니다. 확장기압은 촉진으로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촉진방법은 청진 방법과 같이 신뢰할 수는 없으나 , 심박출량이 들을 수 있는 소리를 낼 정도로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용될 수 있습니다. 촉진상 수축기 압은 청진보다 10mmhg 낮습니다.

    3. 혈압 측정 시 발생하는 오류

    혈압 평가 시 여러 가지 이유로 잘 못 측정될 가능성이 발생하게 됩니다. 팔다리보다 커프 폭이 너무 좁은 경우, 커프를 너무 느슨하게 맨 경우, 커프의 공기를 너무 천천히 뺀 경우(정맥혈 울혈로 확장기압이 높게 측정됨), 음식섭취나 운동 직후, 정서적 불안은 정상보다 높게 측정되는 경우입니다. 반대로 정상보다 낮게 측정되는 경우는 팔이 심장위치 보다 높거나, 팔다리에 비해 커프 폭이 너무 넓은 경우 등이 있습니다.

    4. 비정상적인 혈압

    고혈압은 건강 문제 중 가장 흔한 형태입니다. 고혈압은 지속적으로 140/90mmhg을 넘는 것을 말하며 흔히 증상은 없습니다. 원인으로는 본태성 고혈압이 90% 이상이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많아집니다. 본태성 고혈압의 관련 요인으로는 유전, 흡연, 콜레스테롤 수치 상승, 카페인 및 알코올 섭취, 스트레스 등입니다. 고혈압을 조절하지 않으면 심장기능상실, 콩팥기능상실, 뇌출혈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압평가 시 다른 대상자와 비교하기보다는 환자 자신의 정상범위를 기준으로 중재하도록 합니다.

    저혈압은 혈압이 정상보다 낮은 것으로 성인의 경우 일반적을 90/60mmhg 이하인 경우를 말합니다. 기립성 저혈압은 바로 누운 자세에서 서있는 자세로 움직일 때 어지럼증(현기증), 현훈, 두통, 무기력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이는 다리에 혈액이 몰리게 되는 자율신경의 반사적 보상기적으로 맥박, 심근 수축력, 혈관수축이 증가되어 혈압을 유지하게 됩니다. 원인은 심장기능저하, 출혈, 대사성 질환(부신기능 이상, 심한 칼륨부족), 노인, 정맥울혈, 약물(혈액강하제, 이뇨제, 안정제 등) 복용 시, 당뇨병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활력징후 중 혈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